(출처: https://school.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159994)
문제 설명
코니는 영어 단어가 적힌 카드 뭉치 두 개를 선물로 받았습니다. 코니는 다음과 같은 규칙으로 카드에 적힌 단어들을 사용해 원하는 순서의 단어 배열을 만들 수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.
- 원하는 카드 뭉치에서 카드를 순서대로 한 장씩 사용합니다.
- 한 번 사용한 카드는 다시 사용할 수 없습니다.
- 카드를 사용하지 않고 다음 카드로 넘어갈 수 없습니다.
- 기존에 주어진 카드 뭉치의 단어 순서는 바꿀 수 없습니다.
예를 들어 첫 번째 카드 뭉치에 순서대로 ["i", "drink", "water"], 두 번째 카드 뭉치에 순서대로 ["want", "to"]가 적혀있을 때 ["i", "want", "to", "drink", "water"] 순서의 단어 배열을 만들려고 한다면 첫 번째 카드 뭉치에서 "i"를 사용한 후 두 번째 카드 뭉치에서 "want"와 "to"를 사용하고 첫 번째 카드뭉치에 "drink"와 "water"를 차례대로 사용하면 원하는 순서의 단어 배열을 만들 수 있습니다.
문자열로 이루어진 배열 cards1
, cards2
와 원하는 단어 배열 goal
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cards1
과 cards2
에 적힌 단어들로 goal
를 만들 있다면 "Yes"를, 만들 수 없다면 "No"를 return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제한사항
- 1 ≤
cards1
의 길이,cards2
의 길이 ≤ 10- 1 ≤
cards1[i]
의 길이,cards2[i]
의 길이 ≤ 10
cards1
과cards2
에는 서로 다른 단어만 존재합니다.
- 1 ≤
- 2 ≤
goal
의 길이 ≤cards1
의 길이 +cards2
의 길이- 1 ≤
goal[i]
의 길이 ≤ 10
goal
의 원소는cards1
과cards2
의 원소들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.
- 1 ≤
cards1
,cards2
,goal
의 문자열들은 모두 알파벳 소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.
입출력 예
cards1 | cards2 | goal | result |
["i", "drink", "water"] | ["want", "to"] | ["i", "want", "to", "drink", "water"] | "Yes" |
["i", "water", "drink"] | ["want", "to"] | ["i", "want", "to", "drink", "water"] | "No" |
입출력 예 설명
입출력 예 #1
본문과 같습니다.
입출력 예 #2
cards1
에서 "i"를 사용하고 cards2
에서 "want"와 "to"를 사용하여 "i want to"까지는 만들 수 있지만 "water"가 "drink"보다 먼저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해당 문장을 완성시킬 수 없습니다. 따라서 "No"를 반환합니다.
풀이
collections의 deque 사용법
기존의 queue(큐) 자료구조와 달리 앞 뒤 양방향에서 삽입 삭제 가능
- deque 생성
dq = deque() print(dq) # print결과 : deque([])
- append(): deque 뒤(오른쪽)에 값 추가
dq.append(5) dq.append(6) print(dq) # print결과 : deque([5, 6])
- appendleft(): deque 앞 (왼쪽)에 값 추가
dq.appendleft(4) dq.appendleft(3) print(dq) # print결과 : deque([3, 4, 5, 6])
- extend(): deque 뒤(오른쪽)에 iterable 객체를 순환하며 값들을 차례로 추가
dq.extend([7, 8, 9]) print(dq) # print결과 : deque([3, 4, 5, 6, 7, 8, 9])
- extendleft(): deque 앞(왼쪽)에 iterable 객체를 순환하며 값들을 차례로 추가
주의! 객체의 마지막 값부터 추가됨!!
dq.extendleft([2, 1, 0]) print(dq) # print결과 : deque([0, 1, 2, 3, 4, 5, 6, 7, 8, 9])
- remove(): deque 안의 특정값 삭제
dq.remove(7) dq.remove(8) dq.remove(9) print(dq) # print결과 : deque([0, 1, 2, 3, 4, 5])
- pop(): deque 뒤(오른쪽)의 값 삭제 후 반환
popValue = dq.pop() print(popValue) # print결과 : 6 print(dq) # print결과 : deque([0, 1, 2, 3, 4, 5])
- popleft(): deque 앞(왼쪽)의 값 삭제 후 반환
popValue = dq.popleft() print(popValue) # print결과 : 0 print(dq) # print결과 : deque([1, 2, 3, 4, 5])
- rorate(): deque 안의 값들 회전
주의! 함수의 인자로 전달한 값 만큼 회전하며 음수로 전달하면 거꾸로 회전
print(dq) # print결과 : deque([1, 2, 3, 4, 5])
dq.rotate(1)
print(dq) # print결과 : deque([5, 1, 2, 3, 4])
dq.rotate(-1)
print(dq) # print결과 : deque([1, 2, 3, 4, 5])
dq.rotate(-1)
print(dq) # print결과 : deque([2, 3, 4, 5, 1])
Deque를 이용한 풀이 코드
from collections import deque
def solution(card1, card2, goal):
card1 = deque(card1)
card2 = deque(card2)
for word in goal:
if card1 and word == card1[0]:
card1.popleft()
elif card2 and word == card2[0]:
card2.popleft()
else:
return "No"
return "Yes"
'Iot Study > CodingTest연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프로그래머스 - 둘만의 암호 (0) | 2023.04.19 |
---|---|
프로그래머스 - 대충 만든 자판 (0) | 2023.04.19 |